확장성

확장성은 시스템이 증가하는 부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X는 확장 가능하다” 또는 “Y는 확장성이 없다"라는 표현은 구체적인 의미를 전달하기 어렵습니다. 확장성을 논의한다는 것은 “시스템이 커진다면 이에 대처하기 위한 선택은 무엇인가?” 그리고 “추가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자원을 어떻게 투입할 것인가?” 와 같은 구체적인 질문을 고려한다는 뜻입니다.

확장성을 평가하려면 시스템이 증가하는 부하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특히, 수직적 확장(scale-up)과 수평적 확장(scale-out)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수직적 확장(scale-up): 기존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더 강력한 하드웨어를 추가하거나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더 빠른 CPU나 더 많은 메모리를 추가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 수평적 확장(scale-out): 여러 대의 시스템을 추가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웹 서버를 여러 대로 늘리고 로드 밸런서를 통해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각 방법에는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합한 전략을 선택해야 합니다.

부하 기술하기

확장성을 논의하려면 현재 시스템의 부하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술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부하가 두 배로 증가하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와 같은 시나리오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부하는 부하 매개변수(load parameter) 라는 몇 가지 숫자로 표현됩니다. 시스템마다 적합한 부하 매개변수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 웹 서버의 초당 요청 수
  • 데이터베이스의 읽기 대 쓰기 비율
  • 동시 활성 사용자(active user) 수
  • 캐시 적중률(cache hit rate)

이러한 매개변수는 평균적인 상황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때로는 극단적인 경우(예: 피크 타임, 병목 현상)가 시스템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균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상황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는 초당 요청 수와 동시 활성 사용자가 중요한 부하 매개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캐시 적중률과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이 주요 지표가 될 것입니다.

성능 기술하기

부하를 정의한 후에는 부하가 증가했을 때 시스템 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 부하 매개변수를 증가시키고 자원(CPU,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폭)은 그대로 유지하면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부하 매개변수를 증가시키면서 성능을 유지하려면 자원을 얼마나 추가해야 할까요?

이 질문들에 답하려면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합니다.

주요 성능 지표

  1. 일괄 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system):

    • 주로 처리량(throughput) 에 관심을 둡니다.
    • 예: 초당 처리 가능한 레코드 수 또는 일정 크기의 데이터 집합을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
  2. 온라인 시스템(online system):

    • 주로 응답 시간(response time) 에 관심을 둡니다.
    • 응답 시간은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됩니다.

응답 시간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요청마다 변동될 수 있으므로, 단일 숫자가 아닌 분포(distribution) 로 이해해야 합니다.

응답 시간 분석

평균 응답 시간은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기에는 유용하지만, 실제 사용자 경험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는 평균값이 극단적인 값(특이 값, outlier)에 의해 왜곡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균 대신 백분위(percentile) 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 중앙값(median): 응답 시간을 빠른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중간값으로, 50%의 요청이 이 시간 이하로 처리됨을 의미합니다.
  • 상위 백분위: 95분위(p95), 99분위(p99), 99.9분위(p999) 등이 자주 사용됩니다.
    • 예: 95분위 응답 시간이 1.5초라면, 100개의 요청 중 95개는 1.5초 이내에 처리되고 나머지 5개는 더 오래 걸린다는 뜻입니다.

꼬리 지연 시간(Tail Latency)

꼬리 지연 시간은 상위 백분위에서 나타나는 높은 응답 시간을 의미하며, 이는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요청이 빠르게 처리되더라도 일부 요청에서 지나치게 긴 응답 시간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서비스가 느리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꼬리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은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효율적 확장을 위한 전략

확장성과 관련하여 단순히 자원을 추가하는 방식 외에도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하거나 최적화하는 방법도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전략들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 캐싱 전략 강화: 자주 조회되는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 조회 부담을 줄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쿼리 최적화: 쿼리 실행 계획을 개선하거나 인덱스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로드 밸런싱: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시켜 병목 현상을 방지합니다.
  • 비동기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은 비동기로 처리하여 주요 작업 흐름의 응답 시간을 단축합니다.

또한, 부하와 성능 간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래프나 도표를 활용하면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설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확장성과 관련된 논의를 진행하면 보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