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컬럼 인덱스에서 컬럼의 순서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범위 조건(>, <, BETWEEN, LIKE)이 쿼리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층적으로 알아봅니다. 인덱스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EXPLAIN을 통해 쿼리를 분석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실용적인 전략을 제시합니다.
CSV 파일 다운로드 기능 구현 시 흔히 겪는 3가지 문제(엑셀 한글 깨짐, 프론트엔드 API 호출 시 파일 손상, 특수 문자로 인한 형식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BOM 추가, Blob 타입 응답, RFC 4180 표준을 준수한 특수 문자 처리 등 명확한 해결 방안을 제시합니다.
JetBrains의 차세대 IDE, Fleet에서 Kotest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아직 Kotest 플러그인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 Gradle과 Fleet의 Run Configuration을 활용하여 특정 테스트 파일을 편리하게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Kotlin 데이터 클래스와 Jackson을 사용할 때, JSON에 non-null 원시 타입(Long, Int) 필드가 누락되면 예외 대신 0이 할당되는 문제를 심층 분석합니다. 참조 타입과 동작이 다른 이유를 알아보고, DeserializationFeature, @JsonProperty, Nullable 타입 등 각 해결 방안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최적의 전략을 제시합니다.
Kotlin 엔티티와 Hibernate 지연 로딩(Lazy Loading)을 함께 사용할 때,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NullPointerException의 원인을 심층 분석합니다. 프로퍼티와 동일한 이름의 커스텀 Getter가 Hibernate Proxy의 리플렉션 동작과 충돌하여 생기는 문제를 재현하고,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합니다.
Kotlin의 대표적인 린터(Linter)인 Ktlint의 규칙을 프로젝트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editor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코드 스타일을 변경하고, 특정 규칙을 비활성화하며, IntelliJ 플러그인을 활용해 규칙 ID를 쉽게 찾는 실용적인 팁을 제공합니다.
Kafka S3 Sink Connector의 두 가지 핵심 시간 기반 파일 로테이션 속성, rotate.interval.ms와 rotate.schedule.interval.ms의 동작 방식과 차이점을 심층 비교합니다. 레코드 타임스탬프 기반과 시스템 시간 기반 로테이션의 특징, 데이터 연속성 요구사항, 그리고 Exactly-Once Semantics(EOS) 보장 여부를 중심으로 최적의 설정 전략을 알아봅니다.
자바가 C++, C#과 같은 네이티브 언어에 버금가는 성능을 내는 비결, JIT(Just-In-Time) 컴파일러에 대해 알아봅니다. JIT 컴파일러의 작동 원리, 계층적 컴파일(Tiered Compilation), 그리고 실제 성능 테스트를 통해 JIT의 강력한 효과를 자세히 살펴봅니다.
AWS SQS의 두 가지 큐 타입인 표준(Standard) 큐와 FIFO(First-In-First-Out) 큐의 핵심적인 차이점을 심층 비교합니다. 처리량, 메시지 순서, 전달 보장 수준 등 각 큐의 특징을 이해하고, 어떤 시나리오에 어떤 큐를 선택해야 하는지 명확한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로버트 C. 마틴이 제시한 아키텍처 품질 측정 지표인 ‘메인 시퀀스로부터의 거리’를 알아봅니다. 추상도(Abstractness)와 불안정도(Instability)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 두 지표를 통해 어떻게 코드의 균형 상태를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합니다.
확장성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측정하고 논의해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부하 매개변수와 성능 지표를 정의하는 방법, 평균 응답 시간의 함정, 그리고 사용자 경험과 직결되는 백분위와 꼬리 지연 시간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시스템 확장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Kotlin에서 컬렉션을 다루는 두 가지 방식, Iterable과 Sequence의 핵심적인 차이인 즉시 평가(Eager)와 지연 평가(Lazy)에 대해 알아봅니다. 각 방식의 동작 원리와 성능 특성을 비교하고, 언제 어떤 방식을 사용해야 더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지 명확한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Java 11부터 표준으로 채택된 새로운 HTTP Client API(JEP 321)의 모든 것을 알아봅니다. 기존 HttpURLConnection의 한계를 극복하고, HTTP/2와 WebSocket을 지원하며, 동기 및 비동기 방식을 모두 제공하는 현대적인 API 사용법을 상세한 예제와 함께 설명합니다.
Java의 DecimalFormat 클래스를 사용하여 숫자를 원하는 형식의 문자열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주요 패턴 문자의 의미, 소수점 처리, 그룹핑, 지역화(Localization) 방법과 함께,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반드시 주의해야 할 스레드 안전성 문제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동시성 제어의 핵심, 트랜잭션 격리 수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현상을 명확히 이해하고, 4가지 격리 수준(Read Uncommitted, Read Committed, Repeatable Read, Serializable)이 각각 어떤 문제를 해결하며 어떤 트레이드오프를 가지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서로소 집합(Disjoint Set)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Union-Find 자료구조의 개념과 원리를 알아봅니다. Find와 Union 연산의 기본 구현부터 경로 압축(Path Compression)과 랭크 기반 합치기(Union by Rank) 최적화 기법, 그리고 놀라운 시간 복잡도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